mobile background

홍 보 센 터

PR CENTER

ADHD의 약물치료 - 클로니딘(Clonidine): [1편] 소아청소년 ADHD 치료 목적의 클로니딘 사용 현황

1. ADHD 치료 목적의 클로니딘 일반 사항

클로니딘(Clonidine)은 신경계의 α2 -아드레날린 수용체(α2A receptor)에 작용하여 노르에피네프린(NE)의 분비를 감소시켜 교감신경의 활성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고혈압 치료제로 개발되었습니다.

클로니딘은 이러한 NE 분비 억제 및 진정 효과를 기반으로 소아청소년 ADHD 환자의 증상 완화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특히 자극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부작용이 있는 환자에게 대안으로 고려되고 있습니다.

국내 ADHD 치료 가이드라인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등)에서는 1차 치료로 자극제 계열(메틸페니데이트 계열)의 치료를 권장하고, 자극제 계열 치료에 대한 효과 부족이나 부작용, 기저질환 등의 이유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 경우 2차 치료로 비자극제 계열(아토목세틴, 클로니딘 등)의 적용을 권고합니다. 이 중 클로니딘은 특히 과잉행동/충동성 우세형, 수면문제, 동반형, 틱장애 동반형 ADHD 환자에게 보조적 혹은 단독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2. 클로니딘의 사용 시 주의 사항

클로니딘의 가장 두드러진 부작용은 졸음으로 학업 등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른 주요 부작용으로 피로, 기립성 저혈압, 변비, 구강 건조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작용기전 상 혈압이나 심박수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복용 시작이나 복용 중단 시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복용 시작은 저용량에서 시작하여 반응을 모니터링하면서 점진적으로 증량하는 방식이 권장되며, 갑작스러운 복용 중단 시 반동성 고혈압이 나타날 위험이 있어 복용을 중단할 시에도 처방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량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3. ADHD 치료 목적의 클로니딘 제품

클로니딘의 ADHD 치료 효과는 속방형 고혈압 치료제인 카타푸레스(Catapres)을 복용한 임상시험에서 먼저 확인이 되었으며, '카타푸레스정'은 고혈압 치료 목적으로 승인을 받아 일부 제한적 목적에 따라 오프라벨로 처방하여 ADHD 보조 치료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제조사의 제조 중단으로 판매가 중단되었습니다.

이후, 서방형 클로니딘 제품인 켑베이(Kapbay)를 사용한 임상시험에서 ADHD 증상 완화 효과를 추가적으로 확인하였으며, 현재 국내에서는 'HK이노엔'의 '켑베이서방정' 제품이 2013년 소아청소년(6~17세)의 ADHD 치료 목적으로 국내 식약처 승인을 받아 판매되고 있습니다. 켑베이서방정은 2019년부터 소아청소년의 ADHD 치료 목적으로 일부 건강보험 급여 처방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항목켑베이서방정
제형섭아형 (Extended Release, ER)
복용 횟수1~2회/일
승인 적응증소아·청소년 ADHD 치료 (만6~17세)
ㄱ보험 급여급여 (소아·청소년  ADHD)
사용 용도
ADHD 증상 (충동성, 과잉행동, 야간증상) 보조


[참고 자료] 국내 ADHD 치료제 사용 현황에 대한 분석 연구

(Cho et al. 2024)의 연구는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전국 건강보험 청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ADHD 치료 환자의 특성과 치료 패턴을 분석한 연구입니다. 총 132,017명의 ADHD 치료 환자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령별 치료 패턴: 활성 환자는 6-11세에서 가장 많았고(41.4%), 일시적 환자는 18-30세에서 가장 많았습니다(36.1%).
  • 약물 처방 현황: 메틸페니데이트(89.7%). 아토목세틴(27.8%), 클로니딘(2.8%)이 주요 처방 약물이었습니다. 
  • 제형별 선호도: 소아 환자에서는 서방형 메틸페니데이트가 선호되었고(56.1%), 성인 환자에서는 경구 투여형 메틸페니데이트가 선호되었습니다(71.5%).
  • 치료 변경: 전체 환자의 85%가 메틸페니데이트 제형 내에서 치료 변경을 경험하였습니다.


위 분석 연구에서와 같이 ADHD 치료 목적으로 클로니딘이 처방되고 있는 빈도수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으며, 이는 자극제 계열 치료를 1차 치료로 먼저 적용하고, 1차 치료의 효과가 제한적일 때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이나 수면문제의 개선을 목적으로 적용하는 2차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참고문헌

Cho,Y.,Kim,A.Y.,Lee,S.,&lEE,h. (2024). Recent updates on treatment patterns in patients with treate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from a nationwide real-world database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Clinical Psychopharmacology,39(4),240-249.


요약정리. 클로니딘의 사용 용도
소아청소년 ADHD 환자에서 1차 치료에 대한 보조적인 수단으로 충동성/과잉행동 및 수면문제, 틱장애 증상 완화를 위한
2차 치료제